다른 숫자는 모두 1, 3, 4, 7 등 인간에게 아주 익숙한 낯 익은 것으로 되어 있는데 유독 전혀 낯선 19라는 숫자가 뚱딴지처럼 튀어 나오게 되어 있는 유일한 이유다. 그래서 갑과 을의 성질이 도치성을 나타내기 위해 "그림을 그리듯이 나타내었다"고 말하게 되는 것이다. 이것이 둘째이다.
이 갑과 을의 57개의 "마디(정확히 말하면, 마디 사이)"라는 것은 바로 이 3과 19 사이의 도치성을 나타내기 위하여 정해진 것이라 봄이 옳겠다. 그리고 의미가 더 있으니 갑(OT)과 을(SN)은 57개 마디이지만 병으로서의 FS형은 56개라는 데에 있다. 즉 실체는 갑과 을이요 병은 갑, 을이 하나로 존재하고 활동하는 것을 나타내는 것일 뿐 '독자성을 지닌' 실체는 아닌 것이다. 그래서 차별화를 두되 너무 현격한 차별일 수 없고 단지 1차이의 구별을 나타내기 위해 FS형은 56개 마디이다. 3과 19와의 도치성을 나타낼 수 있고 뿐 아니라 FS형과 OT, SN형을 이상과 같이 구별해서 나타낼 수 있는 가장 적합한 숫자가 바로 이 56과 57이다. 이것이 셋째이다.
다음에는 갑에서 을로, 을에서 병으로, 병에서 갑으로, 그리고 다시 갑에서 을로 흐르는 흐름의 화살표는 어떻게 표시되었느냐 하면 위의 그림에서 보임과 같이 "같은 숫자는 끼리끼리 결착한다"고 전제해두면 을과 병은 숫자 7로써 통하고 통하기 때문에 을에서 병으로 흐른다는 것이고 병과 갑은 3으로써 통하니 역시 을로부터의 흐름을 이어 받아 병에서 갑으로 흐름을 나타내는 것. 그러면 갑에서 을로 흐르는 것을 어떻게 나타나져 있느냐, 그림에서 볼 수 있듯이 갑(OT형)은 LP, DP, JP 모두 균등, 균일하게 1/3씩이다. 다시 말해 네모 반듯하여 흠잡을 데가 없는 왕자의 생김새다. FS형이 LP, DP가 4/7, 3/7로 되어 있어 아름다운 형태를 취하고 있으나 갑에 비할 바가 아니다. 고로 갑(OT형)이 이 세 유형 FS, OT, SN 중에서 중심임을 드러내고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갑에서 을로 흐름이 첫 가닥을 잡는다는 것은 당연지사. 그래서 갑→을→병→갑, 이렇게 해서 연속적으로 흐름이 이어져 갑과 을은 병이 모습 즉 하나의 모습으로 존재하는 것이다.
때문에 3위1체 원리는 3운법칙(인간 생애의 법칙)을, 3운법칙은 3위1체의 원리를 상호 검증하고 있는 것이다.
|
위의 옮겨 온 글(http://gujoron.com)에서 첨언하고 싶은 것은, 과학자든 그 누구든지 간에 "여기까지는 왔는데 그 다음은 무엇이고 어디냐" 해야지, "이제는 다 알았다, 결론을 내자" 하고 거기 안주(安住)하기 시작하면 그 여태까지 쌓아 온 지식마저 덕이 되지 못하고 발전에 "걸림돌"이 된다는 것이다. 3위1체의 원리는 그 걸림돌을 디딤돌로 삼아 초자연계를 넘겨다 볼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이상 더 갈 곳이 없다 하여 오래 방치해 둠으로써 고장이 나 버린 "지식 탐구"라는 차를 끌어다가 초자연계라는 차고의 수리소에 갖다 주어 새로운 안목으로 새 출발로 달리게 하는 견인차 역할인 것이다. 젊은 알렉산더가 동방 정략에 나서 페르시아를 단숨에 석권해버린 후 인더스 강변에 이르자 더 이상 정복할 땅이 없다고 지레 짐작으로 판단하여 결론을 내린 후 그 자리에서 대성통곡을 한 것과 같은 우를 범하지 말라는 것이다. 발 아래만 보지 말고 눈을 들어 광활한 지평선, 수평선을 쳐다보라는 것이다. 자연계 저너머의 초(반)자연계. 이 세계가 있으면 반드시 양세계로 병립해 있으니 그 반대 세계로 눈을 돌리라는 것이다. 지금까지의 모든 인간 의식이 이 자연계에만 한정되어 있었으니 얼마나 비극적 현실, 상황인가. 우물 안 개구리처럼 너무나 근시안적이었다. 자연계가 있으니 반드시 반대 자연계가 있다. 이것은 필연이다. 이 필연성을 지적해주는 것이 3운법칙과 상호 검증 관계에 있는 3위1체 원리의 사자후(獅子吼)다. 세상이라는 결과물이 있으니 그 배후에는 보이지 않는 창조자의 손길이 있다. 보이는 것이 있으니까 반드시 보이지 않는 것이 있게 마련이다. 이것이 대칭성의 원리다. 간단하게 생각해야지 복잡하고 어렵게 접근할 아무 이유가 없다. 이 세계의 생사(生死)가 있으니 반드시 오는 세계에서의 영원한 삶과 죽음이 있게 마련이다. 진화론을 질책하는 이유가 이렇게 확증된 창조자의 실재를 두고도 이를 부인하고 아직도 고집스럽게 무신론적 사고방식을 버리지 않기 때문이다. 이 세상의 한시성은 오는 세계에서의 영원성을 웅변하는 바로 그 근거 자체임을 3위1체의 법칙은 밝히는 것이다. 영원한 죽음. 이 죽음 즉 멸망은 존재의 인멸이 아니다. 대칭성 원리에서의 "정반대되는 성질"을 의미함이므로 생명의 쾌락과는 반대되는 일체의 것을 뜻한다. 이 엄숙한 현실 앞에서 두려워하고 떨지 않는다면 "이성 없는 짐승"(벧후 2:12)보다 나을 것이 무엇이랴. 인생의 유일무이의 과제는 바로 이 점에 있는 것이다. 이 세상을 사랑하게 되면 반드시 오는 세상으로부터 미움만을 받을 것이다. 이것이 대칭성 원리다. 인과율이니, 대칭성 원리니 하는 것들이 지금까지 제대로 대접을 받아오지 못했다. 중구난방식으로 각기 자기 소견대로만 해 온 것이다. 그러나 3위1체의 원리로 그 모든 것이 이제는 확실한 자리 매김을 하게 된 것이니, 한 치 오차 없이 모든 것은 이를 따라 이루어질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