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BP pix(DPA pix)/SBP pix(DPA pix)

DPA 공개 (2)

Tayseek Kwon 2019. 3. 22. 03:09










새가 아무리 커도 새의 고유 형체를 넘지 못하고 

"부엉이/올빼미 운운"한 것은 눈 윗면과 아랫면 등 눈 언저리가 특이해서 

그런 안반을 눈처럼 생각하여 말한 것이고 

눈도 약간은 크다고 생각될 수 있으나 

일반적인 동물의 눈에 불과하다는 것을 이제 확인했고

두 뿔처럼 보이는 머릿깃 혹은 귀깃(아래 그림)은 올빼미는 없고 

심지어 부엉이 중에도 없는 종류가 있으며 

특이종만이 저렇게 유달리 큰 것이며






위의 그림처럼 둥근 안반까지 포함하면 필자가 본 괴물의 눈이 되겠으나

 부엉이 종류라 해도 아래 그림처럼 눈이 다 유난히 큰 것도 아니며....

(아래 그림에서 안반까지 다 포함하면 

검은 눈에다가 번들거리는 모양새가 

필자가 본 괴물과 비슷하다 하겠음ㅡ

물론 코는 전연 관계가 없지만)



새는 주로 나무 가지, 모나게 솟은 바위 등 그런 데에 앉는 법이지 

펑퍼짐한 바위 같은 데에 앉지 않고 

혹 땅으로 착지한다면 아래 그림과 같이 

다리를 다 드러내고 서 있을 것이며 


덩치도 머리 부분과 몸통의 부피가 거의 동일하게 보이므로

 필자가 목격한 괴물처럼 어깨가 딱 바라져 있는 

우람한 체격으로는 나타날 수 없음을 이제 알았기에 

그 괴물의 형상을 묘사할 때 "부엉이/올빼미" 식으로 

무책임하게 표현하지 않기로 했습니다. 





















(계속)